학교
-
코로나 때문에 달라진 가족 일상Life/family 2020. 3. 12.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아이들의 마음 것 뛰놀지 못해 몸이 근질거리고 있는 중이다. 학교 개학이 연기되어 더욱 바깥 활동이 적어서 아이들이 답답해하고 있다. 그런데 어제 퇴근 후 집에 들어오니 우리 아이들이 옛날에 내가 놀았던 탁구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미소가 지어졌다. 적당한 운동은 면역력에 아주 좋은데 아이들이 밖에서 뛰놀지 못하여 걱정스러웠지만, 스스로 자구책으로 밥상을 탁구대로 삼아 탁구를 치는 풍경을 보고 역시 무엇이든 해소가 되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발판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코로나 때문에 달라진 불편해진 우리 일상에서 활력을 찾는 방법으로 스스로 찾아 건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추천 관련글] ▶ 기특하고 앙증맞은 아기 목욕샷 ▶ 제주 한라봉 따기 체험, 설명절 ..
-
시골 초등학교, 어린이 성장 교육에 최고의 장소인 이유?Life/family 2013. 10. 13.
농촌 시골 초등학교를 자주 놀러 가는 이유는 자연과 가까이 위치한 환경적 이유가 크다. 시골 농촌학교로 놀러가는 과정 자체가 자연적으로 힐링되는 과정이 되며 신선한 공기와 탁트인 공간적 여유를 느낄 수 있다. 시골 농촌 학교는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는 주변 환경이 갖춰져 있고 마음껏 아이들이 뛰어 놀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라 생각한다. 시골 농촌 학교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이 된 부모에게도 옛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좋은 시간을 갖을 수 있게 되어 어릴적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다. 아담한 교실 풍경과 놀이터등 학교 주변 모습이 옛날 학교 다녔을 때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초등학교 시절 친구와 선생님등 오랜 기억들을 자연스럽게 다시 밝아 보게 된다. ▲ 경남 고성의 황금 들녘 풍..
-
학교에서 도플갱어로 소문난 덕이와 탁이Photo/portrait 2010. 10. 23.
도플갱어(doppelganger), 직접 보게 된 놀라운 경험 세상 어딘가 나와 닮은 외모로 태어난 존재가 눈 앞에서 펼쳐진다면 어떤 기분일까? 필자가 가르치는 선수와 똑같은 외모 및 신체 사이즈등 거의 모든 외형이 일치하는 학생을 교내에서 발견하는 순간 정말로 도플갱어의 존재를 실감하게 되었다. 학년과 성격이 비슷하여 두 친구는 평소 절친한 친구 사이로 지내고 있었다고 한다. 친근감 있게 덕이(왼쪽)와 탁이(오른쪽)라 서로 이름을 부르며 학교에서 콤비로 소문이 났다. 서로 다른 곳에서 태어나 같은 학교에 다니면서 자신의 외형과 같은 존재를 알게 되었을 때의 개인적인 느낌보다 주변에서 더욱 놀랐다고 한다. 지금까지 많은 학생과 사람들을 만나봤지만 이번처럼 도플갱어을 경험하는 특별한 일은 없었다. 세상은 ..
-
문신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 뭐가 문제일까?Monologue 2010. 5. 15.
학교 현장에서 볼펜으로 피부에 낙서를 하는 학생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소위 문신을 하고 싶은 충동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이다. 문신을 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조폭으로 알고 있으며 조폭은 그 누구도 건들 수 없는 존재로 여지기 때문에 문신을 통해 학생 폭력에서 벗어나고 싶어한다는 심리 행동 표현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여겨진다. 타투 팔 등에 볼펜으로 문신 흉내를 낸 선수와 대화를 통하여 요즘 학교 폭력과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볼 펜으로 왜 피부에 그림을 그렸니, 담배도 피지 않으면서?" "다른 아이들보다 튀어서 입니다." "저는 담배를 피지 못하지만 담배피는 사람의 모습이 멋있어 보여서 그렸습니다." "만약, 진짜로 멋진 문신을 할 수 있으면 하고 싶나?' "예, 대신 튀지 않..
-
스승이 없는 스승의 날Monologue 2010. 5. 14.
스승이 없는 스승의 날, 안스럽다. 교사라는 직업을 갖은 아들의 모습을 보고 싶다는 작은 소망에 부응하기 위해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을 하였다. 또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 선생, 스승님이란 어떤 것이지 확실한 정의를 내릴 수 있어야 학생들을 어떻게 인도해야할지 분명한 가치관을 갖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윤 교육 현장에서 늘 가까이 하다보니 학교 붕괴 현상을 쉽게 감지 할 수 있었으며 지금의 교육 시스템이 변하지 않는 이상 더 이상 한국의 미래는 밝지 않다라는 것을 느껴왔다. 도덕성 상실, 자아 정체성, 무관심, 목표 불확실, 한탕주의등 이러한 단어들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서 쉽게 느낄 수 있는 부분들이다. 공부 잘하고 선생님 말씀을 잘 듣는 항상이 ..
-
변함없는 학창시절의 복도 풍경을 담은 사진 한장Photo/others 2009. 11. 18.
학창시절 학교 복도는 유일하게 체벌이 가능한 '자유구역'이다. 지각, 교복, 두발 불량, 숙제등으로 교실에 들어가지 못하고 차가운 복도에서 벌을 받는 당시는 무척 괴롭고 힘들어졌지만 지금에 와서는 추억으로 남아 있다. 교실에서 떠들어서 친구가 혼자 복도에서 벌 받는 것이 싫다고 함께 복도로 나가자 하면서 '의리' 내서워 어쩔 수 없이 걸상을 머리 위로 들고 복도에서 벌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지금에 비해 당시 걸상은 정말로 무거웠던 것으로 기된다. 여름날에 복도에서 벌 받는 것은 그나마 낳은데 요즘 같이 추운 날씨에 복도로 나가게 되면 이중고를 겪게 되어 정말로 싫다.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 학창시절 복도에서 함께한 친구들은 지금까지도 잊혀지지 않는 추억으로 남는다. 복도에서 벌을 받고 있으면 교실 안..
-
이제는 학교보다 선생님이 더 중요하다Monologue 2009. 1. 31.
빌게이츠가 '좋은 학교보다 좋은 선생님을 만나는 것이 더 중요하다'라는 기사를 에제 보았다. 그래서 좋은 선생님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피력하였다. 여기서 나는 맹자를 위해 이사를 세번이나 했다는 유명한 '맹모삼천지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대로 된 교육이 될려면 학교, 선생님, 부모님의 역할이 잘 조화롭게 이루어져야하는데 학교에 대한 기대는 점점 축소되고 선생님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다. 빌게이츠가 이야기한 좋은 선생님이란 공부를 잘 가르쳐서 성적을 높이 올리는 선생님이 아니다. 좋은 선생님은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 있고 인생의 안내자의 역할로써 공부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 있어서 공부의 의미를 찾게 만들어주는 분이 바로 좋은 선생님인 것이다. 어머니야말로 ..
-
학교 개구멍은 태국에도 있었다.Thailand 2008. 2. 20.
태국의 개구멍에서 파는 음식은 최고다. 태국에서 최고의 군것질은 닭꼬치와 햄 소세지에 시원한 코카콜라를 빨대로 쭉 빠는 것이다. 태국 학교 내에서도 노점상이 학교내 들어 올수 없는 것은 우리나라와 똑같은 것 같다. 보통 4시부터 학교 수업이 끝나며 4시 이후에 학교 근처에서 교복을 입은 학생들과 썽태우에 꽉 꽉 올라탄 학생을 쉽게 볼 수 있다. 아래의 사진은 태국 수판부리 어느 학교의 도로 옆 후문의 풍경을 담은 사진으로 뒤 돌아서면 배가 고픈 학생들의 유일한 개구멍의 풍경이다. 노점상 주인은 학생들의 휴식 시간과 특별한 행사가 있는 날이면 어김없이 찾아와서 닭과 소세지 굽는 냄새로 학생들을 유혹한다. 간혹가다 딸랑 딸랑 거리는 소리도 내는 경우도 있다. 보통 가정 주택이나 기숙사에서는 노점상이 딸랑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