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력제
-
소인국 삼지창이 연상되는 앙증 맞은 도깨비풀!Life/knowledge 2012. 12. 19.
늦 가을 참다래 농장에서 일하면서 도깨피풀에 손과 발에 찔렸었다. 도깨비풀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찔리는지도 모를 정도로 신기할 정도로 은신술에 강하다. 도깨비풀은 도깨비바늘, 귀침초라 불리우며 국화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소매와 바지에 삼지창처럼 찔린 도깨비풀은 소인국 왕국에서 사용하는 창처럼 아주 귀엽게 생겼다. 농가일을 할 때마다 항상 골치덩어리 잡초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한약 재료로 사용되는 사실을 알게 되면 보물 같은 존재이다. 도깨비풀의 타박상과 뱀이나 벌레 물린 곳에 탁월한 효과(염증 및 세균억제)를 보이며 소화와 호흡기 계통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기로 소문이 났다. ▲▼ 참다래 수확을 마치고 바지와 소매에 도깨비풀에 찔린 모습 바지에 찔린 도깨비풀을 제거하는데도 보통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
시골 장터에서 파는 전통 정력제 3총사Life 2011. 6. 20.
정력이란 무엇일까? 옛 문헌에도 몸보신, 정력 강화를 위해서 선현들도 물불 가리지 않고 많이 먹었다고 나온다. 특히 해구신과 임금의 이야기는 아주 재미있다. 대도시에서는 찾아 볼 수 없고 혐오스런 음식일지 몰라도 시골 장터에서 정력 강화 음식으로 파는 개구리, 지네, 해구신, 해마는 최고의 인기 상품으로 장사진을 이룬다. 점점 사라져가는 전통 민간 강장제를 이상한 시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제대로 알고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장터에 파는 전통 정력제를 이해하면서 우리 조상은 과연 어떤 생각으로 이러한 것을 복용했을까 의구심을 갖어 본다. 참으로 대단하다. 1. 개구리의 효능 개구리는 잘 울기 때문에 와(蛙)라고 한다. 참개구리는 참와를 가리킨다. 개구리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은 세린, 트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