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
-
고교시절, 절에서 공부하면서 얻은 다섯가지Monologue 2010. 5. 23.
지금으로부터 21년전, 고등학교 2학년 여름방학에 마음잡고 공부하겠노라 절에 들어가 공부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독서실에서 공부하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외부와 접촉이 완전히 차단된 산 중턱에 위치한 제주도 불탑사에서 방학동안 기거하게 되었다. 성적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나 새로운 경험과 출발점을 찾지 않으면 도저히 불만족스런 당시 상황에서 일탈을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에 과감하게 마음을 잡기 위해 절에 들어가게 되었다. 절 생활은 생각보다 만만하지 않았다. 비록 짧은 여름방학 기간 동안이었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청소년 시절 수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기회를 갖었던 것 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호기심이 많고 사방이 바다로 이루어진 제주 바닥을 어떻게 하면 뜰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
소방관이 제일 싫어할 것 같은 '정월대보름'Monologue 2010. 2. 28.
전국 동시에 불을 지르니 비상 근무 태세 가동 오늘 전국 전역에서 정월대보름 행사의 백미인 달집 태우기를 실시한다. 달집 태우기는 행사를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어 알겠지만 달집에 불이 활활 타오를 때 화염의 위력은 어마 어마하다. 달집이 타다가 중간에 꺼지게 되는 날이면 흉년과 불길한 징조가 마을을 덥친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에 환전히 연소 될 때까지 탈 수 있게 만든다. 달집의 크기는 어떠한가? 정월대보름 행사의 일환으로 어떤 지역에서는 축제의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엄청 크게 달집을 만든다. 달집이 타면서 뿜어져 나오는 불꽃은 생각보다 아주 높게 올라간다. 마치 용이 불을 뿝는 것처럼 활활 타 올라 날아간다. 오랜 전통 민속 풍습에서 내려오는 달집 태우기 행사는 점점 달집과 정월대보름 축제 규모가 커지는..
-
순간 순발력을 이용하여 촬영한 부처님 오시날Photo/others 2009. 5. 2.
삼각대가 없어 어떻게하면 흔들림 없이 야경을 담을 수 있을까 고심했다. 주위를 몇번 살펴보다가 자동차에 반사되는 불빛을 순간 포착하게 되었다. 야경 사진 촬영에 삼각대는 필수라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서도 똑딱이 카메를 사용할 때는 삼각대를 잘 갖고 다니지 않는다. 첫번째 사진은 택시의 천장에서 촬영한 사진고 두번째 사진은 자가용 트렁크 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만약 삼각대를 갖고 왔었다면 반영샷을 찍을 수 없었을 것이다. 주변 환경을 이용하여 프레임 속에 원하는 풍경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게 되면 바로 셔터를 누르지 말고 타이머 설정을 하여 촬영하는 것이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길을 가다 마음에 드는 풍경을 촬영하고 싶을 때가 종종 생긴다. 촬영 분위기는 좋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