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일반
-
세팍타크로 선수들의 스테이 앳 홈 챌린지!SepakTakraw/video 2020. 4. 30.
대한세팍타크로협회 유튜브 채널에 제작한 스테이 앳 홈 챌린지 동영상으로 공개하였다. 코로나19로 체육관에서 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훈련 및 야외에서 훈련을 하고 있다. 스포츠 슈퍼 스타들의 스테이 앳 홈 챌린지 동영상을 보면 신기한 장면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세팍타크로 스테이 앳 홈 챌린지 동영상도 그에 못지않게 이색적인 공놀이 영상들을 볼 수 있다. 작은 세팍타크로 공을 다루는 기술이 남다른 세팍타크로 선수들의 영상을 보면서 지루함을 달래고 다가오는 정식 게임을 차분히 준비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세팍타크로 선수들의 공을 다루는 기술은 묘기인가? 스포츠인가? 스테이 앳 홈 챌린지(Stay at Home Challenge) 영상 함께 감상하시죠^^ ▼ 대한세팍타크로협회 유튜브 채널 '..
-
세팍타크로 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우승SepakTakraw/Information 2017. 8. 8.
2017년도 첫 세팍타크로 스포츠 클럽대회(예산, 7/19~20)가 올해 처음 개최되었다. 엘리트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대회의 성격으로 한마디로 세팍타크로 생활체육 동우인대회라 할 수 있다. 부산을 대표하여 '해운대'라는 팀 명으로 참가하여 간신히 우승을 거머쥐었다. 오랜만에 신발끈을 메고 세팍타크로 코트를 밝아 보는 느낌, 이것은 말로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다. 40대 중반을 넘어 살아 있다는 존재감을 느낄 수 있는 스포츠 클럽대회에 우승을 하게 되어 더 없이 기분이 좋았다. 사실 태국에서는 40대 이후 선수로 출전하여 세팍타크로의 묘미를 즐겼다. 태국에서는 세팍타크로가 보편화 되어 갈 때마다 세팍타크로 게임을 하였는데 한국에서는 은퇴 후 정식 게임을 뛴 것은 처음이다. 실제로 코트에서..
-
대구한의대 이영익교수, 무더운 여름 나기 비법 공개SepakTakraw/Information 2017. 7. 14.
대구한의대 한방스포츠의학과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이영익교수는 세팍타크로 국가대표 출신으로 현재 국제심판으로 활약하고 있는 문무를 겸비한 학자이다. 최근 대구한의대 한방스포츠의학과는 태국 세팍타크로 프로팀과 mou는 물론 인턴 파견을 하여 한방스포츠의학과의 자긍심과 가치를 높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오늘 아침 대구 kbs1 tv 아침마당에서는 이영익교수의 운동과 건강에 대한 명성을 알고 "무더운 여름을 잘 극복하는 운동방법"에 관해 시청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해주었다. 보통 여름을 잘 나기 위해서 일반적인 방법이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영익교수는 대구한의대 한방스포츠의학과의 특성에 맞는 체질별 운동법을 소개하여 인상적이었다. 세팍타크로 1호 박사인 이영익교수가 대구 kbs1 tv 아침마당에 나와서 시청자..
-
제28회 회장기 세팍타크로대회 참가팀 현황 및 대진결과SepakTakraw/Information 2017. 5. 11.
제28회 회장기 세팍타크로대회가 전남 영암군 실내체육관에서 5월 19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 남·여 포함 39개팀이 참가하여 레구와 더블 이벤트 두 종목이 펼쳐진다. 오랜만에 전남 영암에서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고 영암은 월출산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알고 있다. 회장기 대회는 전국체전 다음으로 의미가 있는 대회로 우승팀에게는 우승패와 우승기가 함께 수여된다. 이번 대회는 3월에 열린 대회보다 많은 팀이 참가하였고 우승팀인 고양시청, 부산환경공단, 세종하이텍고를 상대로 회장기대회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기대가 된다. 날씨가 따뜻해져 근육이 커지고 힘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이시기에 근육 손상등과 같은 부상을 조심해야할 것이다. [추천 관련글]▶ 세팍타크로 라이프 = sepaktakraw..
-
컨트롤을 지배하는자, 세팍타크로(스포츠)를 지배한다.SepakTakraw/tips 2013. 2. 1.
세팍타크로(스포츠) 현장에서 가장 많이 듣는 키워드는 뭘까? 스포츠 현장에서 지도자가 많이 하는 말은 '컨트롤(control)'이며 이 단어의 의미는 삶의 현장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거나 지배하지 못하면 상대를 이길 수 없다. 역설적으로 '자신을 컨트롤할 수 있다면 세상을 콘트롤할 수 있다'라는 가설이 성립된다. 세상 누구나 컨트롤의 중요성을 알지만 콘트롤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지도자(선생님)은 없었다. 그저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은 '볼 컨트롤' 뿐이었다. 따라서 필자는 콘트롤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컨트롤을 잘 하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선수들이 운동 가치가 바로 설 수 있을 것인가? 컨트롤에는 총 5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컨트롤은 서로 연합되..